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소득에 따라 납입액을 보조하고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2023년 도입된 이 제도는 2025년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자산 형성 격차 해소를 위해 중·저소득 청년에게 특히 유리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대상과 조건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고, 은행별 차이점과 가입 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정리하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 대상과 조건
- 연령 요건: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청년이 대상입니다. 단, 병역 이행 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제외됩니다.
- 소득 요건:
- 개인 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 가구 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경우 연 소득 6,233만 6,760원 이하입니다.
- 기타 요건: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어야 하며,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어야 합니다.
2.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비교
청년도약계좌는 여러 은행에서 취급하며, 기본적인 가입 대상과 조건은 정부 지침에 따라 동일합니다. 그러나 각 은행별로 제공하는 우대금리 조건과 부가 혜택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은행은 급여이체, 자동이체 실적, 카드 사용 실적 등에 따라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가입을 고려하는 청년들은 각 은행의 우대 조건을 비교하여 본인에게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은행명 | 기본 금리 | 우대 금리 조건 및 최대 우대 금리 |
국민은행 | 4.5% | ① 급여이체 실적(월 50만 원 이상) 36회 이상: +0.6%p ② 자동이체 실적(공과금 월 2건 이상 또는 청년도약 LTE 요금제 자동이체) 36회 이상: +0.3%p ③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가입 또는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 +0.1%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0%p |
신한은행 | 4.5% | ① 급여이체 실적(건당 50만 원 이상) 30개월 이상: +0.3%p ② 신한카드 결제 실적 30개월 이상: +0.3%p ③ 첫 거래 우대(직전 1년간 정기예금, 적금, 주택청약 상품 미보유): +0.4%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0%p |
우리은행 | 4.5% | ① 급여이체 실적(월 50만 원 이상) 가입기간의 1/2 이상: +1.0%p ② 직전 1년간 정기예금 및 적금 미보유: +0.5%p ③ 우리카드 결제 실적(월 10만 원 이상) 가입기간의 1/2 이상: +0.5%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0%p |
하나은행 | 4.5% | ① 급여이체 또는 가맹점대금 입금 실적 36회 이상: +0.6%p ② 마케팅 동의: +0.1%p ③ 하나카드 결제 실적(월 10만 원 이상) 36회 이상: +0.2%p ④ 적금 또는 예금 미보유(직전 1년간): +0.1%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0%p |
농협은행 | 4.5% | ① 급여이체 실적(월 50만 원 이상) 12/36/50개월 이상: +0.1%p/+0.3%p/+0.5%p ② 마케팅 동의: +0.2%p ③ 카드 실적(월평균 20만 원 이상): +0.2%p ④ 최초 거래 우대(직전 1년간 예적금 미보유 또는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 +0.1%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0%p |
기업은행 | 4.5% | ① 급여이체 실적(월 50만 원 이상) 36개월 이상: +0.5%p ② 마케팅 동의: +0.1%p ③ 지로/공과금 자동이체 실적(월 2건 이상) 36개월 이상: +0.2%p ④ 카드 이용 실적(연평균 200만 원 이상) 및 만기 시점까지 보유: +0.2%p ⑤ 최초 신규 고객(실명등록일로부터 3개월 이내 또는 직전 6개월간 총수신 평잔 '0'원): +0.3%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0%p |
부산은행 | 4.0% | ① 급여이체 실적(가입기간 중 30개월 이상): +0.5%p ② 카드 실적(가입기간 중 당행 BC카드 실적 500만 원 이상): +0.5%p ③ 신규 고객(직전 3년간 예적금 가입 이력 없는 고객): +0.5%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5%p |
광주은행 | 3.8% | ① 급여이체 실적(월 50만 원 이상) 30회 이상: +0.5%p ② 카드 사용 실적(매입 기준 500만 원 이상): +0.5%p ③ 첫 거래 우대(직전 1년간 예적금 계좌 미보유 또는 거래 이력 없음): +0.5%p ④ 만기 축하 우대(해지원금 3,000만 원 이상): +0.2%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7%p |
전북은행 | 3.8% | ① 급여이체 실적(월 50만 원 이상) 가입기간의 1/2 이상: +0.7%p ② 마케팅 동의: +0.2%p ③ 적금 자동이체 실적(가입기간의 1/2 이상): +0.3%p ④ 카드 실적(가입기간의 1/2 이상): +0.5%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7%p |
경남은행 | 4.0% | ① 급여이체 실적(월 50만 원 이상) 가입기간의 1/2 이상: +0.7%p ②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0.4%p ③ 최초 신규 고객(직전 1년간 예적금 신규 및 해지 이력 미보유): +0.4%p 최대 우대 금리 합계: +1.5%p |
3.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혜택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다음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부 기여금 지원: 월 납입액에 대해 최대 6%의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비과세 혜택: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제공되어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
- 우대금리 제공: 일부 은행에서는 급여이체, 카드 사용 등 특정 조건 충족 시 추가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 자산 형성 지원: 5년간의 저축을 통해 목돈을 마련할 수 있으며, 정부 지원과 이자 소득을 통해 실질적인 자산 증식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가입을 고려하는 청년들은 각 은행의 우대 조건을 비교하여 본인에게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유용한 금융 상품입니다. 특히 소득이 낮은 청년에게는 실질적인 목돈 마련의 기회를 제공하며, 정부 기여금과 세제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점이 장점입니다. 단, 중도해지 시 불이익이 있으므로 5년 동안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재정 계획을 세우고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 대상과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고, 본인의 상황에 맞는 은행과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은행별 우대 조건과 혜택을 비교하여 최적의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